InCheon Complex Fish Market

싱싱함이 가득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제 우리 곁에서 새롭게 태어납니다.

HOME > 지식센터 > 묻고답하기
  인쇄하기 | 목록보기 
Question
'민태'라는 생선의 이름이 어떻게 붙여진걸까요?
ms4865 작성일 : 2006-08-19
조회 : 3557 답변 : 1

친구녀석이 민태라는 생선을 우리나라 사람중에 모씨 민태, 모 민 태 라는 사람이
처음 잡았었는데, 그당시 발견한 사람인 민태씨가 자기 이름을 붙였다는 겁니다.

음..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조금 이상해서 여러가지 도감을 찾아보았지만
학명은 있으되 민태라는 이름의 기원을 찾을수가 없어서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혹시 그 기원에 대한 친구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 증명할수 있는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Answer
'민태'라는 생선의 이름이 어떻게 붙여진걸까요?
admin 작성일 : 2006-08-19
현재 추천 : 0

농어목 Order Perciformes
민어과 Family Sciaenidae
방언 : 봉금이(평남, 철산)
영명 : Belenger's jewfish, Croaker
일명 : Konibe

형태적 특징


*몸 빛깔은 등쪽은 연한 회청색, 배부분은 은백색이며 아가미뚜껑 뒷부분과 등지느러미 가시부 끝부분은 암갈색이다.
*몸은 약간 가늘고 길며 측편한다.
*주둥이는 둥글며 약간 돌출한다.
*입은 아래에 위치하고 윗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돌출하며, 그 뒷끝은 눈의 중앙 아래에 도달한다.
*아래턱의 밑면에는 5개의 작은 구멍이 있으며, 수염은 없다.
*양턱 모두 앞쪽에는 4~5줄의 이빨이 있고, 뒤로 갈수록 줄어들며 윗턱은 가장 바깥쪽 이빨이 안쪽보다 매우 크지만 아래턱은 거의 같은 크기이다.
*주둥이 부분, 목덜미, 등지느러미 연조부, 뒷지느러미 기저 부분도 둥근 비늘이며, 그외 빗비늘로 덮여 있다.
*옆줄은 앞부분은 둥글게 구부러져 있지만 뒷지느러미 윗쪽에서 거의 직선으로 꼬리지느러미에 도달한다.
*D.X~XI, 27~28; A.II, 7; P1.17; LL.44~50; Vert.25.

생태적 특성

*분 포 : 우리나라 서,남해, 황해, 동중국해, 인도양.
*서식장 : 바닥이 모래나 펄질인 수심 80m 이내의 얕은 바다에 주로 서식한다.
*회 유 : 겨울철에는 약간 깊은 곳으로 이동하며 봄이 되면 연안으로 이동한다.
*산 란 : 산란기는 4~7월로서 이 시기가 되면 어군을 형성하여 서해안의 얕은 곳으로 이동하여 산란하며, 포란수는 약 7만~10만개이다.
*성 장 : 부화 후 만1년이면 체장 8~9cm, 2년이면 12cm 전후로 성장하며, 몸길이는 약 19cm, 수명은 2~3년으로 추정된다.
*식 성 : 요각류, 갯지렁이류, 새우류, 게류, 젓새우류, 오징어류, 소형어류 등을 포식한다.






출처 : http://www.jfishing.co.kr/

목록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