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heon Complex Fish Market

싱싱함이 가득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제 우리 곁에서 새롭게 태어납니다.

HOME > 지식센터 > 묻고답하기
  인쇄하기 | 목록보기 
Question
산호초
itsoo55 작성일 : 2006-07-15
조회 : 3427 답변 : 1

산호초는 동물일까요, 식물일까요?

Answer
산호초
admin 작성일 : 2006-07-15
현재 추천 : 0

석산호류(石珊瑚類)의 분비물이나 유해 등으로 이루어진 석회질의 암초.


본문


【종류】 섬과 산호초의 위치관계에서 거초(礁) ·보초(堡礁) ·환초(環礁)로 나누어진다. 거초는 섬의 기슭에 해안선과 접하여 조초산호(造礁珊瑚)가 자라고 있을 때 생긴다. 보초는 해안선에서 떨어진 앞바다 쪽에 분포하며 섬과의 사이에 석호(潟瑚)가 있다. 환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산호초만이 해면상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환초가 융기하여 표면이 육지가 된 것을 융기환초 또는 탁초(卓礁)라고 한다.

【성인】 각종 산호초의 생성에 관해서는 많은 견해가 있으나 ① 육지의 침강설 ② 빙하제약설(氷河制約說)로 크게 나눌 수 있다. ①은 C.다윈이 처음으로 제창한 생성설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초산호가 화산섬 주위에 자라서 거초를 만들고, 그 섬이 점차 침강하면 산호는 유해를 남기고 위쪽으로 자라나 섬과 산호초 사이에 석호를 두고 보초를 형성한다. 섬이 계속 침강하여 해면 밑으로 가라앉으면, 산호초만이 해면상에 남아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환초를 만들고, 그 안에 초호(礁湖)가 생긴다. 이 환초가 융기하면, 초호저가 해면상에 드러나 평탄한 탁초를 만든다.

②는 간빙기(間氷期)에 지구상의 기온이 따뜻해지자 지구상의 빙하가 융해하여 바다로 흘러들어 해면이 상승하였는데, 그 상승 정도에 따라서 거초 ·보초 ·환초가 생겼다는 설이다. 태평양의 비키니환초와 푸나푸티환초의 지하구조를 시추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비키니환초는 지하 770 m까지, 푸나푸티환초는 지하 300m까지가 순전한 산호초임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조초산호의 성장심도로부터 생각하면 섬의 연속적 침강에 따라서 산호초가 생성되고, 결국은 환초를 형성하기에 이른다고 하는 침강설 쪽에 유리한 증거가 되고 있다. 빙하제약설에서는 300∼700m나 되는 해면의 오르내림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분포】 거초는 하와이제도를 비롯하여 많은 섬에 분포한다. 거초의 연변부에서는 반드시 파도가 일정한 위치에 몰려오기 때문에 파도타기를 하기에 알맞다. 보초는 홍해연안이나 오스트레일리아의 연안의 대보초지대가 유명하다. 미크로네시아의 마셜제도 ·오샨섬 ·나우루섬 등은 대부분이 환초로 되어 있으며 탁초는 적다. 폴리네시아의 섬들은 거의가 환초이며, 투아모투제도도 1개의 탁초 외에는 모두 환초이다.

【생물】 산호초는 최저수온이 20℃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온대에서 열대지방 천해에 걸쳐 발달하기 때문에, 그 주위의 생물도 다른 환경에서 사는 생물에 비하여 특수한 것이 많다. 식물은 홍조류(紅藻類)의 석회조(石灰藻) 등이 많으며, 동물은 각종 산호류 외에 어류 ·성게 ·불가사리 ·해삼 ·말미잘 등이 많다. 산호 숲속과 그 위를 갖가지 빛깔의 아름다운 물고기가 헤엄쳐 다니며, 몸에 흰 가로무늬가 있는 흰동가리돔이나 황색 세로무늬가 있는 세로띠청줄돔, 긴 등지느러미를 흐느적거리며 헤엄치는 잔클러스 ·두동가리돔, 뾰족한 입으로 산호를 쪼으면서 먹이를 찾는 나비고기, 코발트자리돔 등 종류가 많다.

암초에는 노랗거나 빨간 풀산호와 홍조류가 착생하여 군락을 이루며, 고산지대의 꽃밭을 방불케 한다. 산호초의 가지 위나 사이에는 각종 산호게와 망둑어류 등이 살고, 군체 속에는 파이프성게 ·닭새우 등이 숨어 있다. 또 길이가 1m나 되는 해삼이 암초 사이에 웅크리고 있으며, 여러 가지 불가사리도 많고, 몸을 산호초 속에 숨기고 있는 갯지네류의 적 ·등 ·청색 아가미가 아름답다. 산호초의 꽃이라고 하는 말미잘 중에는 흰동가리돔이 드나드는 종류나 보라색 촉수를 가진 것, 오스트레일리아의 대보초에 사는 지름이 50∼60cm나 되는 것도 있다. 산호초에 붙어 사는 생물은 대체로 낮에는 산호의 숲 속에 숨어 있거나 촉수를 오므리고 있지만,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활발하게 이동하고 촉수를 뻗쳐, 낮보다 아름다운 광경을 이룬다.





출처 : 네이버 지식검색

목록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