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 skate ]
요약 연골어류 홍어목 가오리과의 바닷물고기. 분류 : 홍어목 가오리과 크기 : 몸길이 약 150cm 색 : 체반의 등쪽 갈색 바탕에 군데군데 둥근 황색 점, 배쪽 흰색 산란시기 : 9∼3월(산란성기는 11∼12월) 서식장소 : 바다(연안) 분포지역 : 타이완, 일본해, 동중국해, 한국 등의 북서태평양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본초강목》에는 태양어(邰陽魚)라 하고, 모양이 연잎을 닮았다 하여 하어(荷魚)라고도 하였으며, 생식이 괴이하다 하여 해음어(海淫魚)라고도 하였다. 《자산어보》에는 분어라 하였고 속명을 홍어(洪魚)라 하였다. 홍어의 형태와 생태를 관찰기록하였고 음식으로서 나주(羅州)지방의 홍어에 대한 기호(嗜好)를 소개하고 있다. 일본명은 Komonkasube이다.
체반(body disc:가오리류에 있어서 몸통 부분과 머리 부분이 가슴지느러미와 합쳐져서 넓고 평평한 부위를 형성한 것)의 가장자리는 만입된 부분이 2곳 있고, 주둥이 끝은 가늘고 뾰족하다. 눈은 크며 돌출되어 있으며 눈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5개 가량의 작은 극이 나 있다. 두 눈 사이는 넓고 약간 오목하게 만입되어 있으며 눈의 바로 뒤쪽에는 동공 크기의 분수공(spiracle:눈의 뒤쪽에 목과 몸 표면을 연락하는 1쌍의 작은 구멍으로 가오리류가 숨을 쉬기 위해서 물을 들이마시는 주요기관)이 위치한다.
몸의 등쪽 정중선에는 가시가 없지만 분수공의 약간 뒤쪽에는 1개의 가시가 있고 체반의 앞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가시가 밀생하며 전반부에는 비교적 날카로운 가시가 분포한다. 꼬리에는 3줄의 가시가 있는데, 등쪽 정중선을 따라 1줄, 좌·우 바깥쪽으로 2줄이 있다. 배쪽의 감각공(sensory pore:측선의 유공과 같이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구멍)은 크고 체반의 전반부 및 안쪽으로 한정되어 나타나며 항문까지 달하지 않는다.
체반의 등쪽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군데군데 황색의 둥근 점이 고루 분포한다. 배쪽은 희다.
타이완, 일본해, 동중국해, 한국 등의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산란기는 9∼3월(산란성기는 11∼12월)이며, 1회에 4∼5개의 알을 산란하는데 이 알은 난각에 싸여 있다. 수명은 5∼6년 정도이다. 몸길이는 약 150cm이다. 먹이로는 오징어류, 새우류, 게류, 갯가재류 등을 먹는 포식성의 어류이다. 저층 트롤어업, 정치망어업(set net fishery:일종의 함정그물로 길그물이 있고 고기들이 길그물을 피하여 그물 안으로 들어오면 고기를 살아 있는 채로 잡는 어업) 및 낚시어업에 의하여 대부분이 어획되며,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이다.
이 종은 형태와 몸빛깔에서 무늬홍어와 유사하지만 무늬홍어는 배쪽 감각공이 항문 앞까지 분포하고 이 종은 항문에 달하지 않기 때문에 잘 구분된다.
가오리 [ ray ]
요약
연골어류 홍어목 물고기의 총칭.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같은 연골어류의 악상어목과 형태가 다른 점은 ① 아가미구멍이 5쌍으로 배쪽에 넓게 열린다. ② 가슴지느러미가 크며, 수평으로 넓고 머리와 함께 전체가 편평하다. ③ 눈은 등쪽에 있으며, ④ 분수공(噴水孔)이 반드시 있다. ⑤ 입은 배쪽에 있으며, ⑥ 꼬리는 보통 가늘고 길다. ⑦ 등지느러미는 꼬리 부분의 위에 있는데, 전혀 없는 것도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작거나 없으며, 뒷지느러미가 없는 점 등이다. 일반적으로 몸이 편평하다. 노랑가오리는 등지느러미가 퇴화하여 독선(毒腺)이 있는 꼬리가시로 되었다. 수컷의 배지느러미 안쪽에는 막대 모양의 교미기가 있다. 비늘은 퇴화되어 전체로는 매끄럽다. 이는 턱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줄지어 있으며, 바깥쪽의 것이 탈락하면 안쪽의 것이 바깥쪽으로 밀려 나온다. 장은 짧으나 내부에 나선판이 있으므로 먹이의 통로가 긴 셈이다.
생식선은 좌우 1쌍이 있으며 난소는 종종 한 쪽이 퇴화축소된다. 체내수정을 하는데 난생인 것과 난태생인 것이 있다. 산란수는 어느 종류도 많지 않아 수개에 그치며 알은 크다. 난생은 알이 각질의 난각(卵殼)으로 싸이고, 난태생은 수란관의 뒷부분이 자궁으로 변화하여 부화할 때까지 알을 보호한다. 부화했을 때의 새끼는 크기 때문에 어릴 때 죽는 일은 적다. 대부분이 해수어이지만 담수에 사는 것도 있다.
분류상 발전기가 있는 전기가오리아목은 전기가오리과 1과로,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배지느러미 ·입술 ·꼬리 등으로 형성되는 홍어아목은 가래상어과 ·가오리과 ·목탁가오리과 ·색가오리과 ·매가오리과 ·쥐가오리과의 6과로 나뉜다. 체내에 요소(尿素)를 많이 함유하므로, 죽은 후 단시간 내에 요소가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되므로 악취의 원인이 된다. 신선한 것은 생식한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