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먹는 장어는 네 종류로 민물장어, 붕장어(아나고), 먹장어(꼼장어), 갯장어(하모)가 있으며 이러한 장어를 쉽게 구분 할 수 있도록 표식하여 정리하였다.장어(長魚)는 분류학적으로는 먹장어목 - 꾀장어과에 속하는 먹장어, 묵꾀장어와 뱀장어목(Order Anguilliformes)에 속하는 모든 종류가 포함된다. 형태적으로는 장어형 물고기라 하며 생김새가 뱀처럼 몸이 길게 연장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서 먹장어, 칠성장어 등 원구류, 뱀장어, 갯장어, 붕장어, 드렁허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와 같은 가늘고 긴 생김새를 하고 있는 종들은 대부분 바다 밑바닥의 모래나 펄 속에서 잠입하여 생활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어는 뱀장어 뿐 아니라, 먹장어(꼼장어), 붕장어(아나고), 갯장어(하모) 등이 있다.
<먹장어> 먹장어(hagfish)는 일명 '꼼장어'라 부르며, 안주의 대명사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먹장어는 턱이 없고 입이 흡반 모양으로 생긴 원구류에 속하는 원시어류로서 꼬리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바다의 뻘 속에 주로 살며 몸길이는 최대 수컷 55cm,암켯 60cm이며 어류, 오징어류등에 부착하여 살이나 내장등을 녹혀 빨아 먹는다 먹장어의 껍질은 eel skin제품을 만드는데 쓰인다. 껍질로 제조된 지갑, 손가방은 질기고 부드러워 수출 상품으로 인기도가 높다. 안주로 먹는꼼장어는 껍질이 벗겨진상태로서 먹장어의 제 모습을 찾아 보기가 쉽진 않다.
<붕장어> 붕장어(conger eel)는 일본말 '아나고'로 부르며, 회로 인기가 높고 구어 먹어도 맛이 좋다. 붕장어는 측선을 따라 흰 감각공이 배열되어 쉽게 구분된다. 연안의 사니질 속에서 주로 산다. 한반도 주변 붕장어는 가을에 알을 낳으러 제주도 남방으로 회유하며, 12월에서 1월에 일본 대륙사면 근처에서 알을 낳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화한 붕장어는 봄에 연안에 도달하여 붕장어로 변태한다. 변태전에는 먹이를 먹지 않으며 변태후에는 갑가류, 갯지렁이를 먹으며, 성어가 되면 어류, 새우류,오징어류등을 먹는다.
<갯장어> 갯장어(sharp-toothed eel)는 하모라고도 불리며 일본말로 “물다”라는 뜻의 “하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아닌게 아니라 생긴 모양부터가 붕장어(아나고)보다는 훨씬 포악하게 생겼다. 주둥이도 날카롭고, 강단이 있어 보인다. 표준어로는 갯장어라고 불러야 맞고, 하모의 주요 산지인 여수 지역에서는 보통 참장어라고 부른다. 갯장어는 잔가시가 많아서 손질하는 게 아나고보다 훨씬 힘들다. 가시들을 발라내고 잘게 썰어서 내오는 갯장어 회는 미식가들의 입안에 군침이 고이게 하는 여름철 별미 중의 별미다. 갯장어는 양턱이 크고 날카로운 이빨과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 붕장어가 커 봐야 1 m 정도인데 갯장어는 2m 정도꺼지 자란다.
<뱀장어> 뱀장어는 민물장어를 말하며 전남 강진의 목리천이나 전북 고창의 풍천장어가 유명하다. 서울에서 가까이는 임진강 민물장어가 유명하다. 일본말로는 우나기가 민물장어다. 간장 양념을 해서 구워먹기도 하고, 초밥 재료로도 쓰며, 밥 위에 얹어서 덮밥으로도 먹는 게 민물장어다, 주로 우리나라 동, 서, 남해와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크기는 1m까지 정도가 된다. 먹이는 갑각류, 곤충등을 먹는다.
(http://www.fishone.com/에서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