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heon Complex Fish Market

싱싱함이 가득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제 우리 곁에서 새롭게 태어납니다.

HOME > 지식센터 > 묻고답하기
  인쇄하기 | 목록보기 
Question
산성비
admin 작성일 : 2006-05-22
조회 : 2200 답변 : 1

산성비 ???

Answer
산성비
admin 작성일 : 2006-05-22
현재 추천 : 0

물은 이산화탄소(CO₂)의 양과 온도 등에 따라 페하(pH)가 변하는 데 순수한 물의 pH는 7.0, 즉 중성입니다.

산성비란 산업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대기중의 수분과 화합해 산성물질이 돼 비에 섞여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석유 등이 연소할 때나 자동차가 달릴 때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₂)ㆍ황산화물(SO₂)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보통의 비는 pH 5.6 전후이지만 황산화합물, 염산, 산성의 에어로졸 등이 구름 속에서 흡수되면 pH 2~4의 극히 산성이 강한 비가 내립니다. 산성비에 의해 토양이 산성화되면 식물과 토양 미생물의 상호작용이 저해돼 식물의 생육에도 지장을 줍니다. 산성비는 호수나 하천의 물을 산성화하고 거기에 살고 있는 어류에 영향을 줍니다.

또 산성비는 대기중의 오염물질, 황산ㆍ질산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식물체의 잎에 부착해 흡수되거나 씻겨내려 갑니다. 식물체의 잎에 흡수될 경우 산이 가지고 있는 탈수성과 반응성에 의해 잎이 부식돼 그 결과 식물의 잎이 하얗게 되고 구멍이 생깁니다. 즉 질산염이 잎에 흡수되면 잎 속의 양분을 빼내고 이로 인해 식물병과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적어져 나무나 식물체가 쉽게 병들고 죽게됩니다.

또 산성물질이 토양 내에 축적되면 토양의 pH가 높아져 식물체의 생장과 미생물 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토양의 산성화는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방해해 토양 내 낙엽이나 사체가 제대로 분해되지 않아 동물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의 산성화는 식물체가 직접적으로 입는 피해 보다 훨씬 더 심각한 피해를 가져오고, 나아가 담수 생태계에까지 영향을 줍니다.

이 때문에 산성비에 의한 산림 및 녹지피해 대책으로 산성비와 대기오염에 강한 수종을 선발해서 심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목록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