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싱함이 가득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제 우리 곁에서 새롭게 태어납니다.
Fish Market
SMART GUIDE
동해바다에 바위섬이 많은 이유가 뭐에요
신생대 제4기초의 대단층운동에 의한 함몰로 생성되었으며, 북동남서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남북길이 1,700㎞, 동서최대길이 1,100㎞, 수심은 평균 1,361m인데요. 특히 한반도와 러시아의 연해주 부근은 더 깊어서 3,000m 정도의 급사면을 이루며, 최심부는 북동쪽 오지리 섬[尾尻島] 부근으로 3,762m입니다. 대륙붕이 15m 너비로 해안을 따라 좁게 발달해 있는데 그 면적은 전체의 1/5로 약 21만㎢에 불과합니다. 동해의 해저지형은 중앙부에 연속적으로 발달해 있는 해령을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는데, 북부는 대체로 평탄하고 경사가 완만하며, 남부는 복잡하여 해구(海溝)·해퇴(海堆) 등이 발달해 있습니다. 대표적 해퇴인 야마토 뱅크에는 크고 둥근 자갈이 있으며, 송백과(松柏科)의 식물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해구는 대륙사면에서 약 2,000m 이상의 깊이에 이르지만, 일본 열도 말단에서는 800m 정도로 얕아지기도 합니다. 울릉도·독도와, 이키[壹岐]·쓰시마[對馬]·오키[隱岐]·사도가[佐渡]·도비시마[飛島] 등의 섬이 육지 주변을 따라 솟아 있습니다.파랑(波浪)의 영향은 황해나 남해에 비해 심합니다. 해류는 북위 40° 부근에서 쓰시마 해류와 북한해류가 만나 조경수역을 이룬다.(물이 파랗게 보이는이유-수심이 깊고 해류의 조합>) 수심이 깊어 어로기술이 미약했던 옛날에는 어장으로서의 이용가치가 적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은 세계 4대어장의 하나인 북태평양 서부어장 중에서 중심어장을 이루며 전략상으로도 중요게 되었어요. 주요어종은 살오징어·꽁치·방어·삼치·고등어·정어리 등의 성어류와 명태·대구 등의 한류성 어류가 풍부하합니다.출처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일부발췌